CLI 환경과 리눅스 나노(nano) 텍스트 에디터 사용방법
서버 관리를 하면서 CLI 환경에 익숙하지 않다면 여러가지 애로사항이 꽃피우는데요. 리눅스 명령어를 알아가는 것도 그렇지만 각종 설정파일을 수정해야할일이 많은 서버관리자로서는 텍스트편집기를 잘 사용하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언제까지나 파일의 권한을 변경해가면서 FTP 프로그램을 통해 의지할 순 없는 노릇이니까요. CLI용 텍스트에디터에 익숙해지면...
아마존 라이트세일 서버 리전 이동하기 – AWS Lightsail 워드프레스를 서울 서버로 복사 후 옮기기, 업그레이드 방법
아마존 라이트세일 서버 인스턴스의 지역(국가)을 이동하는 방법의 예로 도쿄서버에서 서울서버로 이전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서버 이전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개념화해보고, 서버이전을 실행하기전에 반드시 준비해야할 사항, 주의해야할 점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본문은 AWS Lightsail 스냅샷으로 데이터백업, 복원, 업그레이드, 서버이전 시리즈 연재작의 일환으로 작성된...
AWS 라이트세일에서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운영시작: 호스팅 추천)
안녕하세요 . 설치형 워드프레스 설치 시작하기 시리즈의 연재작 첫편입니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전에 서버(호스팅)을 먼저 추천하고, 블로깅툴로써 워드프레스를 과연 써야할지에 대해 고민하는 서문을 먼저 작성했습니다.
네이버블로그나 티스토리, 브런치등 여러 가입형 서비스를 두고 설치형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선택한 사람들이라면 저마다 이런 저런 이유가 있겠지만...
한 서버에 워드프레스 사이트,블로그 두개 설치하기(서문)
이번 연재작에서는 하나의 아마존 라이트세일 VPS(서버 인스턴스)에 두 번째 워드프레스 사이트(블로그 또는 쇼핑몰)를 추가설치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약간 개념적인 이해만 따른다면 이런 서버관리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비단 AWS lightsail에서 뿐만 아니라 블루호스트나 디지털오션같은 다른 곳에서도 기본틀은 같습니다.
지난 연재작...
파일질라(FileZilla) 다운로드 및 라이트세일 서버에 접속하기(S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접속)
이번에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중 하나인 파일질라(FileZilla) 다운로드 방법과 암호 키파일을 이용한 SFTP 접속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S)FTP 와 클라이언트 앱
FTP는 단지 파일전송을 위한 통신규약의 명칭입니다. 단순히 파일을 저장해두기위한 FTP 서버도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할 건 FTP서버 프로그램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흔히 FTP 클라이언트...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WordPress 설치하기 (AWS Lightsail, 워드프레스 블로그 설치방법 – 홈페이지, 쇼핑몰 제작)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그 절차와함께 몇가지 중요한 것을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먼저 아마존 라이트세일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로그인합니다 https://amazonlightsail.com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화면 오른쪽위에 아래처럼 가입(Sign up), 로그인(Log in) , 일본어로 변경(JA) 버튼을 볼 수 있습니다.
AWS 회원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Sign...
도메인 별로 워드프레스 루트폴더 지정 연결(WordPress 아파치 웹서버 포트 설정)
두 개의 워드프레스 사이트(블로그,쇼핑몰등)를 한 서버에 연결할 때 서로 다른 도메인을 이용하게 될테고 두 도메인 모두 같은 서버IP로 연결됩니다. 그후 웹서버가 방문자가 어떤 도메인으로 왔는지에 따라 루트폴더를 안내해줄 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TTPS 접속용 443포트는 다루지 않고 HTTP 접속용 80포트를 설정하는...
우분투 리눅스 LEMP 스택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nginx + MariaDB + WordPress)
안녕하세요. 이번 시리즈 연재작에서는 지난번에 준비했던 LEMP 스택에 Wordpress를 설치하고 도메인 연결, HTTPS 설정까지 하려고 합니다.
이전에 AWS lightsail에 bitnami 워드프레스를 설치, 시작 할 때는 아마존에서 제공되는 Wordpress 이미지를 선택해서 곧바로 아파치+MySQL+Wordpress 가 설치된 이미지로 시작했기에 절차가 많이 간소화 되었었죠....
아마존 라이트세일 워드프레스 서버에 IP와 도메인 연결하기 (AWS Lightsail 과 DNS설정)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DNS(네임서버)를 설정해줘야합니다. DNS 설정은 자신이 가진 도메인이 어느 서버로 연결되어야하는지를 서버의 IP를 기입함으로써 하게 되는데요. 라이트세일 서버 인스턴스의 Public IP(퍼블릭 아이피)를 바로 연결해도 되지만 저는 Static IP(스태틱 아이피)를 생성해서 연결해주는 것을 선호합니다.
유동아이피 & 고정아이피
아마존 라이트세일의...
한 개의 서버에 두 개의 워드프레스 설치방법 (VPS, mySQL 데이터베이스 추가 및 세팅)
워드프레스 시작하기(설치,세팅) 연재작 글을 따라 첫번째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두번째 사이트를 추가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첫번째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운영한 뒤 많은 시간이 지나서도 언제든지 추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번 연재글의 첫번째 단계인 이 글에서는 두 번째 워드프레스를 같은 서버에 추가하기위해 DB를 추가하고...
HTTPS SSL인증서 수동 갱신하기 (Let’s Encrypt renew)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를 만들면서 Let's Encrypt(렛츠 인크립트)로부터 발급받은 HTTPS 인증서인 SSL 인증서를 갱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HTTPS SSL 인증서 설정 글과 두 개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대한 HTTPS 세팅하기 에서 언급했듯이 렛츠 인크립트 인증서는 90일간만 유효합니다. 아마 만료되기 2주 전에...
HTTPS SSL 인증서 자동갱신 등록방법(Let’s Encrypt)
Let's Encrypt SSL인증서를 수동으로 갱신 하는 방법은 명령어 한줄이면 되지만 서버에 접속해야하고 명령어 넣어줘야하고 정말이지 여간 귀찮은 일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저도 리눅스 마스터가 아닌 관계로 이래저래 알아봐야 했는데요. 리눅스에는 스케줄...
nginx 웹서버 라우팅 설정하기 – 도메인 IP 연결, www 리다이렉팅
전 단계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nginx(엔진엑스)를 사용하는 서버에 도메인을 구매해 연결하고 nginx 설정파일을 세팅해봅시다. 그런김에 www 서브도메인 리다이렉팅도 할겁니다. 이번 글을 잘 이해한다면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도메인과 서브도메인을 연결해서 폴더별로 나눠려고 하는 일도 할 수 있을 겁니다.
이 글은 LEMP...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변경과 www서브도메인 링크주소 리다이렉팅 방법(permalink)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나서 곧바로 설정하길 추천하는 것들 중 두 가지는 글의 고유주소(permalink) 변경과 www로 시작하는 서브도메인 리다이렉팅입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글 고유주소
Wordpresss 고유주소 구조 변경하기
WWW 리다이렉팅
httpd-prefix.conf 파일을 수정해서 리다이렉팅
.htaccess 파일을 수정해서 리다이렉팅
리다이렉팅은 방문자가 특정한 링크주소로 접속해왔을 때 다른 주소로 보내주는 것을...
nginx 웹서버의 SSL 보안설정과 HTTPS 라우팅설정 방법(www 도메인 리다이렉팅)
지난 글에서 HTTPS 사용을 위한 인증서를 발급받았다면 nginx(엔진엑스) 설정파일을 수정해줄 차례입니다. 아울러 ssl.conf 파일을 생성해서 SSL 보안설정, TLS 지원버전설정등을 해주겠습니다.
참고로 이번글에서 작성하는 nginx의 SSL 보안설정 내용은 보안등급 테스트에서도 전체 평점 A+ 등급이 나오는 설정입니다.
이 글은 리눅스서버 LEMP 스택에 Wordpress...
아마존 라이트세일 인스턴스에서 네트워크 방화벽 포트 열어주기 (HTTPS, MySQL 등등)
이번 글에서는 AWS Lightsail (아마존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레벨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 뿐만 아니라 mySQL, 오라클 RDS등 포트를 열어줘야할 때라거나 여러가지 포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방화벽과 보안?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방화벽 포트열기
VPS 인스턴스를 서버로 사용할 경우 염두에 둬야할 게 한가지...
DNS에서 서브도메인 주소 추가설정하기 (블로그,홈페이지,쇼핑몰 URL)
이번 글에서는 서브도메인(sub-domain)을 추가하는 방법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원래는 지난번 작성한 글, '고대디에서 도메인 구매하기'에서 짧게 언급하고 넘어가려 했는데 글이 길어져서 그냥 말았아요. 혼란스러울 것같기도 하고 해서..
그런데 얼마안되는 방문자지만 유입 검색어로 서브도메인(도'매'인 아닙니다.) 추가하는 방법이 궁금해 오시는 분들이 있으신 것같더군요. 하여,...